[기증] 조혈모세포(골수) 기증 신청서 작성
40세가 될 때까지 수혜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기능하지 않는다고 하는군.
40세까지 밖에 안 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가수 나윤권이 골수를 기증했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는데, 참 대단하군. 나보다 어리잖아?!
기념품으로 usb memory stick과 뱃지를 줬다.
목베개는 헌혈 기념품이다.
[수필] 마라톤과 프로그래밍
8km지점, 오른쪽 앞축에 통증이 시작된다. 발가락까지 아파서 인상을 찌푸리게 한다. 프로그래밍에서도 두번째 문제가 발생한다. 전에 발생한 예외처리 때문에 다른 문제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 때는 전에 해결했던 방법을 통합적으로 생각해서 회피해야 한다. 약간 머리를 써야한다. 담배가 필요할 지도 모른다. 10km 단축 마라톤이라면 쉬면서 간식을 먹으면 된다. 그러나 half라면 이제 반 밖에 안 달린 것이므로, 물을 마시고, 다리를 한 번 더 풀어 준 후 왔던 길을 되돌아가야 한다. 물론 코스에 따라서 반환지점이 다를 수 도 있다. 일반적으로 되돌아가기만 하면 된다.
11km 지점에서 왼쪽 무릎의 통증으로 더이상 달릴 수가 없게 되었다. 이쯤 되면 코딩에서도 검색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인터넷 서핑이나 하면서 작업을 전환해야 한다. 3km 정도를 걸으면서 왼쪽 무릎의 통증이 사라지길 기다린다. 중간중간 다리를 풀어주며, 15km지점 부근의 바나나와 초코파이 포카리스웨트로 체력을 보충한다. 프로그래머는 니코틴이나 간식을 통해 뇌에 포도당을 공급하는 시간이다. 이제 다시 무릎을 점검해 본다. 16km 지점부터 다시 달려본다. 속도는 나오지 않지만 이제 얼만 안 남았으므로 완주를 바라면서 가다보면, 18km 지점에서 허리통증이 시작된다. 프로그래머도 너무 앉아있어서 허리가 아프다. 헐. 이제 팔, 어깨까지 모두 결려온다. 20km지점. 1.1km를 앞 두고 피니시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으로 통증이 잠깐 사라진다. 프로그래머도 거의 완성된 프로그램의 UI를 마무리할 생각으로 최대한 귀찮지 않을 방법을 궁리한다.
결승점. 마지막 스퍼트를 내보려하지만 여유가 없다. 프로그래머 역시 기술을 도입하고 싶지만 귀찮다. 완주 후에 먹는 간식은 체력을 보충해 줘야 하므로 단 음식이 좋다. 긴 랠리를 끝내고 성취감을 맛 볼 것 같지만, 상처뿐인 영광일지도 모른다. 온몸은 축나고, 남는 건 피로 뿐. 잠을 자고, 얼마 후 레이스 사진을 본다. 프로그래머 역시 완성된 프로그램을 돌려보면서, '내가 이랬다니'를 연발한다.
[졸업] 공학석사
물론 특허나 수상 실적은 학위과정과 관련이 없지만 연구실에서 작업한 거라, 직무실적이라 해야하나?
암튼 무사히 학위를 마쳤다.
소속이 없는 자유인이 되었다.
[수필] 교회 나간지 100일째?
8월 중순에는 큰 행사가 있다, 잠정적으로 참석자로 등록되어 있고, 기상이변이 없는한은 참석하게 될 것이다. 물론 여러 걱정이 들고, 연구실에 사정을 얘기해야 하는 부분도 있다. 하지만 이런 사항은 추후에 해결하기로 하고, 일단은 블로그 포스팅이 적은 점을 들어 이렇게 수필을 남긴다. 지금은 '회복(restoration, 2009)'를 보고 있다. 이스라엘의 교회가 핍박당하는 현실을 다큐멘터리로 다룬 영화이다. 객관적인지, 주관적인지는 모호하지만, 기독교에 대해 비판적으로 말하는 유대인들의 말이 설득력이 있다. 기독교를 악용하는 이들이 많다는 점에서 잘 못 흘러가는 종교에 대해서만 비판한다면 문제가 되는데, 종교 자체에 대한 절대자나 신에 대해 언급한다는 점에서 생각해 볼만 하다.
교회 100일! 오늘은 정확히 103일째다. 내일도 금요기도회에 나갈 예정이다. 집근처도 아닌 한강 이북의 신촌 부근 교회를, 게다가 개척교회에 초교파적인 성격을 띤 교회를 나가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일단 교회였다면 접근하기 힘들었겠지만, 이런 특수한 상황이 나를 그곳으로 가게 만들었다. 십일조에 대한 부담과 교회 성도들과의 가깝고도 먼 관계들은 지속적인 출석을 항상 방해한다. 결론은 '계속 나가봐야겠다' 라는 완성되지 않은 답변으로 남아있다. 3개월 정도 더 나가보고 6개월이 되는 때, 선택이 주워질지도 모른다.
[야후맵] json으로 처리하기
1. 지도 api
2. 검색 api
3. 좌표, 지명변환 api
4. 좌표변환 api
야후 지도가 매우 쓸만합니다.
json, php, xml 로 제공됩니다.
json으로 만든 예제 페이지를 공개합니다. 당연히 js로만 되어 있어서 서버에 구애받으실 것이 없습니다. firefox와 ie7에서 test했습니다.
날림코딩이긴 하지만, 쓰시는데는 지장이 없을 듯 합니다.
json 출력 코드는 dna.daum.net의 예제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려고 했는데, obj 내에 들어가 있으면, map 오브젝트 변수가 공유가 안 되서 심하게(?) 바꿀 수 밖에 없었습니다. DOM에 setAttribute나 onclick 속성 설정이 잘 안되서(구글 서치 결과 잘 안 된다는 의견이 많아서), 스트링 concatenation으로 그냥 출력시켰습니다. 수정해서 사용하세요. 이것 하면서, callback에 대한 개념을 잘 잡았죠.
1,2,3은 구현됬고 4는 이제 쓸일이 별로 없어서(네이버 맵을 안 쓸 것 같군요... ㅋ) 사용은 안 해 봤습니다. 그럼 참고하세요.
http://lispro06.woweb.net/dw/yahoo/json.htm
[도서] 인생 망가져도 고!
[다음] 다음 DevDay 9th 참석
![]() |
|
[수필] 아이들의 추상화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