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영식 홈페이지

[iBook] 아이패드용 북 제작 중

[원문보기]
정식으로 출판사를 책을 내기 어렵다면, 간편하게 E-book을 만들면 된다.

사실 헌혈 100번을 채우면 내려고 했는데, 치과 진료 때문에 올해 안으로 하는데 약간 차질이 생길 수도 있겠다.

일단 내고 보자.

매우 매우 쉬우니 검색해서 하면 되겠다.

[리뷰] 도서리뷰 400(+1000)

[원문보기]
네이버에 1000개를 쓴 후, 다음에 400개를 썼다. 1400개. 다음에 1000개를 채우면 이제 어디에 써 볼까?

[달리기] 제6회 은평구청장배 국민생활 단축 마라톤대회

[원문보기]
무료 대회는 후원자들의 격려사나 축사가 많다. 참가비도 안내는데 그 정도는 들어줘야지. 막걸리나 찌개 등은 괜찮았다. 코스가 반환이 두번이나 있는 정상적이지 않은 것이었으나, 감수했다.
2km정도 지점에서 '허리를 펴고 달리세요. 무릎 다쳐요.' 라고 누군가 말했다. 허리를 안 펴서 그동안 무릎이 아팠나? 신발끈이 자꾸 풀리는 바람에 잠깐씩 쉬면서 호흡을 조절했다. 다음달에 금년 마지막 달리기를 수행할 예정인데, 그 때는 좀 더 자세를 바르게 하고 달려봐야겠다.

[시술] 임플란트 1개

[원문보기]

1번은 사랑니와 어금니다.


어금니에 금이 가서 아팠는데, 사랑니랑 같이 제거해 버렸다.


그래서 오늘 임플란트 시술을 하고, 추후 보철을 하게된다.


2월 17일에 발치를 하고, 3개월 정도 지났군.


오른쪽 사랑니는 일단 두자....

[수상] 논문공모전 가작

[원문보기]
논문 공모전에 3번 정도 공모한 것 같은데, 성과과 나왔다.
LG, 한경, 삼성, 저작권위원회..... 4번째에 성공했다!

[여행] 인도네시아 단기선교활동

[원문보기]
1월 7일부터 1월 20일까지 해외 단기 선교활동을 다녀왔다.

매우 매우 알차고 재미있었다.

해외에서 선교사님들이 선교를 위해 힘쓰고, 그들을 돕는 일에 대해 많이 느낄 수 있었다.

인도네시아의 발전에 대해 체험할 수 있었으며, 시장 가능성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

[서평] 기사 100건 달성

[원문보기]
2007년 10월 16일 첫 기사를 시작으로 2010년 5월 26일 100건의 기사를 달성했다.

올해 100건까지 쓰기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빨리 달성했다.

올해는 벌써 50여건의 기사를 썼다. 어제 독자의 메일을 받았는데, 저자의 메일 주소를 알려달라는 내용이다.

헛. 모르는데.... 답변은 좀 더 나중에 생각해 봐야겠다.

[수필] 고인의 유작을 읽다

[원문보기]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이름보다는 책이 더 남는다. 故 장영희 교수님을 비롯해, 故 앙드레 김, 故 손창섭, 故 이윤기 님의 도서를 읽었다. 故 법정스님이나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도서는 이미 읽은 적이 있기에 다시 읽고 싶지 않았다. 나는 죽어서 무엇을 남길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면, 홈페이지 등의 디지털 자료가 있을 듯 하지만, 계정이 만료되면, 없어질 것이고, archiving 서비스가 있긴 하지만 보증(guaranty)할 수 없기 때문에, 아무래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힘들다. 다행이 IEEE에 검색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있는 논문이 있고, 몇 가지 기술문서 번역이 있기에 약간의 흔적들을 남긴 할 것이다. 그래도 확실한 것은 저술인데, 이는 쉽지 않을 것 같다. iPhone 등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전자책의 경우도 생각해 봤으나, 영속성 측면에서는 미흡한 점들이 많다.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의 경우 작가 탄생 100주년 등을 기념해 새로 책이 출판되어 명맥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나, 유명하지 않은 책들은 거의 사장되기 쉽다. 과연 어떤 것이 몇 백년, 몇 천년 후에도 남을 것인가는 좀 더 생각해 봐야할 듯하다. 생전에까지만이라도 기록으로 남을 수 있다면 충분할 거라는 생각으로 문서화를 진행하고 있는데, 얼마 지나면 그 기준이 바뀔지도 모르겠다. 고인들의 유작은 그들이 살아있을 때보다, 더 인정을 받을 확률이 높은 듯하다. 정말 훌륭한 기록은 시대를 앞서간 작품들이므로 생전에는 인정받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반정도 남은 故 이윤기 님의 무지개와 프리즘을 마저 읽어야 겠다.

[영화] 오아시스, 복수는 나의 것"

[원문보기]
500원짜리 라서 2개나 빌렸다. 제목이 좀 귀에 익은 거라서 기대감이 컷는지 재미가 없었다. 젠장. 둘다 장애인급이 나온다는 것이 비슷한 점이고, 유명한 배우들(쟁쟁한...)이 출연했지만, 내용이 구리다는 것도 공통점이 될 수 있겠지. 오아시스에서 보여준 추상미의 장애인 연기는 정말로 압권이다. 상상하는 부분에서 정상인으로 돌아올 때의 감동은 착각하게 만들 정도 였다. 복수는 나의 것에서 박찬욱 감독이 보여준 스토리 전개는 올드보이에서처럼 빠진 부분이 있었다. "발리에서 생긴일"처럼 모든 주인공이 죽는다. 송광호 마저도,... 배두나의 배드신이 영화 린다린다린다를 더 보고싶게 만드는군.... 고등학생으로 변신한 배두나를 보고싶은 것이지.... 음,, 둘다 비추천이다. 오아시스는 132분이고, 복수는 나의 것은 120분이다. 보는내내 지루하고, 결말도 bad endding이다. 다른 영화를 보세요.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마라톤] 2011 산타마라톤

[원문보기]
송파구청장이 바뀌지 않고, 여성신문의 후원도 있었는데, 대회가 개판이었다.

매해 좋아져야 되는데, 이번에 이런 식이면 곤란하다.

뭐야, 사진도 남아있는게 없고!

아, 다시 떠올리니 짜증난다.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84다음
첨부 (1)
376194_279062238812370_100001257880045_865476_1200741473_n.jpg
194.9KB / Download 48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