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차트] Bar width and spacing
막대차트를 그리다 보면, width가 chs만으로 조절이 안 될 때가 있다. 4번째 그림 옆에 width가 계산되는 식이 나와 있다. 이런 계산을 무시하고 싶다면, chbh옵션을 a로 줘서 자동적으로 전체 width에 맞게 막대의 굵기를 설정해 주면 된다. 슬림하고, 보기 좋은 막대를 그리기 위해선 계산이 필요하다. 역시 고통이 따르는 것이다.
Description | Example |
---|---|
This chart uses the The first chart specifies no group spacing, so groups are not apparent. The second chart adds some spacing (15 pixels) between groups. |
chbh=a,5,15 |
This chart uses the |
|
The first chart has five values in each series, but the chart is too small to hold all the bars with default values: 10 * 23 pixels for bars + ...so some bars are clipped. The second chart specifies absolute bar and spacing values to fit all bars in the chart. |
|
[iphone] 10.1.1 탈옥
IOS 8을 지원하는 앱들이 줄어듬에 따라 아이패드를 9로 업데이트 해서 탈옥하려고 했는데, 3194부터 다양한 에러로 IPSW 를 설치할 수 없어, iphone 6의 IOS 10.1.1 의 탈옥을 시도했다.
http://ryueyes11.tistory.com/9793
를 참고하여 여러번 했지만 실패했는데 https://yalu.qwertyoruiop.com/ 에서 ipa (cydia impactor) 의 링크의 김정은 아이콘을 통해 성공한 듯 하다.
IMPACTOR와 해당 앱, extra 나 mach_portal 을 아직 정확히 구분하지는 못하지만, 천천히 진행하면 될 것 같다.
일단 탈옥 체크 앱에서 탈옥이 탐지되는데 까지는 성공했다.(cydia는 실행되지 않는다.)
http://yalujailbreak.com/
와 https://yalu.qwertyoruiop.com/ 를 참고하자.
[리뷰] 1000 달성
2006년 9월 8일부터 2010년 4월 17일. 기록에 의한 것이고, 누락된 것도 있으니, 4월 8일로 치면, 4년 7개월, 55개월이고, 날짜로는 1310일 정도 된다. 네이버 리뷰 작성 체계가 바뀌면서 다른데로 옮길까 하는데, 끌리는데가 없다. 좀 더 찾아봐야 할 듯.
[자격]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일도 안하고 집에서만 있어서 역량을 키우기 위해 자격을 하나 취득했다.
5년 이상 AWS를 운영했지만, EC2 위주로 사용했기 때문에, S3도 간단하게 실습해봤다.
Lamda 는 꽤 오래전에 테스트 했었고, 지금도 운영되고 있다.
VPC, Private Gateway, VPN 을 최근에 사용해보면서 시험을 보는데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다.
DUMP가 잘 제공되는 사이트가 있어 여러번 풀어본 결과 25분 정도만에 문제를 풀고 나왔다.
고양시 일산 백병원 근처 피터비즈센터에 대한 시험 후기가 없는데, 그냥 가서 응시했다.
시험장소 약자가 WBD 로 되어있는데, web based desktop 정도로 생각되는데 정보가 없다.
키오스크와 좀 차이가 있는 일반 PC를 이용한 시험으로 생각하면 되고 응시 시간 15분 전에 입실하여 로그인 되면 바로 시작 가능하다.
해당 자격은 가장 기초적인 레벨이고 associate 가 그 다음 레벨인데, 안전하게 합격하기 위해 선택했다.
100 달러에 부가세 별도라서 13만원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3년 유효 기간이니, 그 후에도 유지가 필요할 것 같으면 다음 레벨도 고려해 봐야겠다.
합격 여부는 바로 나오고, 자격도 오후 1시 시험을 봤는데, 당일 저녁에 바로 확인 가능하였다.
[작업] 탈옥과 OX 업그레이드
애플이 OS를 무료로 배포하면서 업그레이드 할 기회가 생겼다.
돈주고 사려고 했었는데 잘 되었다.
아이팟터치를 탈옥했는데, 반탈이라 부팅을 수동으로 해줘야 한다.
순정으로 켜지더라도 탈옥이 우회되지 않으니 CYDIA도 사용 못하고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IOS 7로 업데이트된 아이폰4를 원복해야하는데, 홈버튼이 잘 눌려지지 않아 쉽지 않다.
아이폰은 탈옥, 분석, 우회. 쉬운게 없다.
여러 리뷰를 통해 장점을 봤지만 가장 좋은 건 iBook 지원이 된다는 것이다.
이제 내가 출판한 책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업데이트를 할 때도 된 것 같다.
"무제"라는 말이 남아 있다니. 읍.
[qt] qt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시작했다.
qt creator는 apt-get으로 설치가 안 된다.(2010년 2월 10일 기준)
http://qt.nokia.com/downloads 에서 LGPL을 누르고, 각 OS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Ubutu 8.4에서는 일반 linux 파일을 받아서, 실행권한 주고(설명에 나온대로) 따라하면 된다.
기타 라이브러리는 시냅틱 관리자나
$ sudo apt-get install libqt4-core
$ sudo apt-get install libqt4-debug
$ sudo apt-get install libqt4-dev
$ sudo apt-get install libqt4-gui
$ sudo apt-get install qt4-designer
$ sudo apt-get install qt4-dev-tools
$ sudo apt-get install qt4-doc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논문] IEEE Xplore에서 검색되는 논문
Visualization and structure analysis for efficient XML
.Pak, Yeongsik ; Kim, Byunggi ;
School of Computing,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This paper appears in: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ing (ICEIE),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ssue Date : 1-3 Aug. 2010
Volume : 1
On page(s): V1-44 - V1-49
Location: Kyoto, Japan
Print ISBN: 978-1-4244-7679-4
Digital Object Identifier : 10.1109/ICEIE.2010.5559835
Date of Current Version : 02 9월 2010
Abstract
XML is extensible data format and used in various areas. Thus it is proposed by independent criteria and updated frequently. But structures designed without explicit guidelines decrease dependencies in the future extension and efficiencies of parsing program. In this paper we study general structure and suggest direction for designs of efficient structure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parsing time and complexity. We use parser for structure analysis, and propose visualization method using Cascade Style Sheet (CSS). Proposed method will provide structure analysis function for XML format designing continuously, and identify efficient structures.
http://ieeexplore.ieee.org/search/searchresult.jsp?searchWithin=Authors:.QT.Pak, Yeongsik.QT.&newsearch=partialPref
[킷캣] 안드로이드는 SD 카드 접근을 불허한다.
허니콤, ICS 때 부터 외장 SD 카드에 대한 엑세스를 허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런데, 국내 제조사들은 이를 무시하고, SD 카드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해 어플들이 자유롭게 개발되었다.
하지만, 지금은 안드로이드의 정책에 의해 SD 카드 사용 권한을 변경할 경우 판매를 할 수 없도록 했다고 한다.
킷캣이 전환점인데, 삼성도 이를 따르고 있다고 한다.
완전히 사용 못 하는 건 아니고, 외부 메모리카드의 제한된 영역(어플 전용 영역)에 대한 엑세스는 가능하나, 파일 탐색기 처럼 전체를 접근하는 건 허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어플에서는 정책과 제공하는 메서드를 이용해 개발하면 되겠지만, 한쪽에서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SD카드 관리 전용 앱과 OTG.
OTG는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폰용 메모리라 할 수 있는데, 외부 메모리로 인식되므로 이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아직은 많이 퍼지지 않은 것 같은데, OTG를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구글이 구글 클라우드를 이용하도록 하려는 정책이라하는데, 정확한 건 알 수 없다.
왜 그랬을까?
http://open2world.tistory.com/301
http://googledevkr.blogspot.kr/2014/01/no-writing-to-secondary-storage.html
안드로이드 킷캣 부터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디렉토리의 경우에는 권한 요청 없이 자유롭게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허용하는 동시에 그 외 다른 경로에는 파일을 쓸 수 없도록 제한되었습니다. 앱은 자신에게 할당된 디렉토리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시스템은 앱이 삭제될 때 앱과 연관있는 파일을 판단하고 이를 모두 삭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라고도 하는데, 어떤 파급을 줄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