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영식 홈페이지

[OTL] 요세미티 설치 후 vmware 불능

[원문보기]

 메베릭스로 바꾸려고 했는데, 이전버전이라 안 된다고 한다.

 

vmware를 6만원 정도 주고 다시 사야하는데, 아깝다. 

 

좀 더 정보를 수집해 보자.

 

 

 

https://my.vmware.com/web/vmware/info/slug/desktop_end_user_computing/vmware_fusion/7_0

 

위 주소에서 받아서 30일간 사용할 수 있다. 뭐. 크랙이 있으려나... 

[도서] 악마와 미스 프랭

[원문보기]
그래, 이것의 줄거리는 다른 데서 읽기를 바라며(내용이 그나마 쉽고 읽으면 이것은 재미있다. 코엘료의 소설중에 유일하게 스펙타클한 맛이 있다.) 결론이나 쓰고 가겠다. 한 놈이 와서 마을에 실험을 하는데, 실패하고 금괴를 한 여자에게 돈으로 다 바꿔준다. 그래 실험에 실패했다는 것은 그렇다고 치자. 그런데 미스 프랭이 마을사람들을 설득하는 말이 석연치 않다. 한사람의 희생으로 금을 얻는 것에 대한 본질적 고찰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금괴를 어떻게 팔아서 돈으로 바꿀 것인가에 대한 혼란을 가중시켜 결론에 이르지 못하게 한다. 이 점에서 실망이다. 마을 사람들이 금덩어리를 바꾸지 못할 만큼 바보들인가 하는 것이다. 200명에 넘는 사람들이 한 사람을 희생시키기로 했는데, 금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대한 생각조차 안 했다는 말인가?! 게다가 신부.... 마지막에 갑자기 그의 과거를 꺼내며, 반전의 분위기를 유도한 것은 무슨 의미이지? 읍장의 견제세력을 만들기 위해서라고 해도 너무도 어설프게 설정되었다. 결정적으로 돈을 엄청 벌어서 떠나는 여자는 11분에 나오는 창녀와 같다. 미스 프랭도 여러사람과 놀아났고, 결국에는 돈을 따서 떠났다. 코엘료는 남자작가인데, 내가 읽은 5가지 중 4개의 주인공이 여자이다.(11분, 베로니카, 피에트라, 악마와..., 연금술사-요것만 남자) 그렇게 여자를 잘 알까? 그렇다 치고.... 그리고 일곱번째 날(피에트라, 베로니카, 악마와...) 3부작이라고 불리는 이 세트는 사랑, 죽음, 금전 3가지를 다루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작가가 악마와 미스프랭 작가노트에 그렇게 적고 있다. 7일간에 벌어지는 3가지 TEXT! 하나도 마음에 와 닿지 않는다. 내용도 전혀 이해가 안 가고. 결론도 탐탁치 않다. 이제 파울로 코엘료 소설이 몇개 안 남았다.(오자히르, 뽀뽀상자, 다섯번째 산, 꿈을 찾아 떠나는 양치기 소녀) 이중에 알려지지 않은 것도 있고, 내가 알지 못하는 것이 더 있을 수도 있다. 아무튼, 다 읽어볼 것이다. 탐탁치 않은 소설가의 베스트작가 만들기를 별로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시멜로 이야기. 내 치즈는 누가 옮겼을까.에 대한 비판도 곧 쓸 예정이다.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번역] WCAG 2.0 UNTIL GUIDELINE

[원문보기]
가이드라인부분까지 초벌번역이 끝났다.
사실상 주요 부분이 끝난 것이다.

http://suritam9.woweb.net/wcag20.htm"

[도서] 누가 소프트웨어의 심장을 움직이는가(박지훈)

[원문보기]
컴퓨터의 역사보다는 조금 거부감이 덜 들었다. 보통 컴퓨터의 역사를 다루는 책들은 애니악부터 시작해서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온 이야기만을 다루는데, 이 책은 그나마 적게 다루고 있다. 그리고 UML과 RUP 등의 근래 도입된 관련분야 기술을 다루고 있어, IT분야에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에게 필독서로 권하고 싶다. 음. 오픈소스의 개념, 기타 프로그래밍 언어의 계보도와 각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들을 다루고 있어, 상당한 IT상식을 쌓을 수 있다. 넓게 읽히기에 좋은 책이다.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사진] PC 배경화면으로 쓰고 있음.

[원문보기]



사이언스 TV는 YTN과 과기부가 지원하는 민간합작 방송입니다.

2008년 3월 13일 방송
 http://www.sciencetv.kr/program/program_view.php?cd=0101&key=200803131628418773

"

[논단] 사행산업에 투자하다

[원문보기]
  사행산업(행운을 바라는 사람들의 마음을 이용한 산업) 이라고 하는군... 그 중에 로또 복권은 특별히 많은 돈을 요하지 않고 가장 인식이 좋은(?) 분야라 투자를 시작했다. 그래서 프로그램도 개발했는데, 알고리즘을 다시 세워야 겠다는 생각뿐이 안 든다. 왜?? 오늘 번호 때문이다. 35이상의 숫자들만이 나왔다. 내가 구현한 프로그램은 고른 분포인데, 오늘과 같은 번호라면, 당첨될 확률이 0이다. 고른 분포가 아닌 정말 정말 임의의 숫자로만 구성되어 나온다면 하나 마나 한 것이기 때문이다. 음, 200회까지 197, 198, 199, 200 네번 남았다. 4주니까, 딱 9월까지이군.... 200회까지만 하고, 깨끗하게 물러설 것이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에게 행운이 따르지, 나 같은 백수에게는 허황된 공상만을 심어줄 뿐이다. 열심히 일하면 그런 생각을 안 하게 될 것이라 믿는다. 지금도 잘 하고 있다. 오늘 축구도 봐라. 설기현처럼 열심히 뛰어 다녀야 골이 나오지, 조재진처럼 문 앞에서 있어봤자, 프리킥 유도밖에는 안 된다. 물론 이번에 언급한 것은 그냥 포지션의 문제이다. 선수 자체를 탓하는 것이 아니다. 작전상의 포지션일 뿐이다. 나의 포지션은 아직 뛰는 위치가 아니다. 그럼 뭐야... 아직 후보다. 지금 난 좀더 내공을 쌓아야 한다. 10월부터는 내가 답답해서 돈 벌러 나간다... 정부는 사행산업으로 서민 돈을 울거 먹고, 그 돈으로 공무원들을 먹여살리는 구나. 나도 어서 공무원 대열에 껴야지... 대세를 타야지.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자, 200회.. 아직 네번이나 남았다. 내가 만든 프로그램으로 한 번 찍어보자!(당첨되면 바로 판다.. 한 1000원 정도에...)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도서] 마시멜로 이야기

[원문보기]
책은 성공한 사람들의 기록물이라고 생각한다. 역사는 살아남은자의 기록이라는 말이있다. 이는 성공한 사람 또는 현재의 집권층이라고 얘기할 수 있는데, 집권층이 역사를 다르게 설명하는 것은 그들에게 유리하게 가져가려는 것이다. 일본이 한 때 그랬던 것 처럼. 마시멜로 이야기는 종전에 읽은 "인생 망가져도 go", "책상 한개....." 처럼 성공한 기업사장의 이야기이다. 마시멜로는 국내 정서에 잘 맞지 않기 때문에 뭐 꿀이나, 곶감, 좋아하는 음식으로 바꿔도 될 것 같다. 한마디로 압축하면, 샴페인을 터뜨리는 시기를 잘 선택하여, 그 때까지 참으라는 얘기다. 개인적으로 이런 종류의 책이 근간에 많이 있다. 별로 베스트셀러에 올리고 싶지 않다.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인가 뭐, 이런책이 있었는데, 그 책도 번역에서 오는 오류인지는 모르겠지만, 조금은 이해하기 힘들었다. 문화적 차이를 느낀다고나 할까. 모든이들은 마시멜로를 일상에서 꾸준히 먹고싶어한다. 나도 마찬가지 이다. 이것을 참고 조금만 인내하면 나중에 성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때에 그것을 먹음으로써 투자하지 않는다면, 불이익을 당할 것은 뻔한 일이다. 386, 30대 20대 를 잘 생각해 보면, "인생 망가져도 go"에서 언급했듯이, 20대는 마시멜로를 계속 안 먹다가 끝까지 먹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이건 충분히 상정해 볼 수 있는 일이다. 현재 사회적, 조직적 모순으로 마시멜로를 참아도 누군가가 그것을 강탈하여 도저히 모을 수 없는 사람들이있는 것이다. 이들은 인내력과 끈기만으로는 성공할 수 가 없다. 필자의 경우처럼 사회가 상식적으로 돌아가야만 가능해 진다. 현재 우리나라도 많이 상식적으로 변해가고 있지만, 자세히 보면 자본주의에 빠져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하늘을 찌르고 있다. 상위 10%가 중하위 80%보다 앞서는(아니, 상위 5%일지도...) 세상이다. 아무리 노력해도 중하위에서 상위로 올라갈 수 없는 것이다.(보통사람이...) 나는 오늘도 마시멜로를 참고, 또 참고 있다. 그러나, 1년후에 쌓이는 마시멜로가 과연 얼마나 될 것이고, 그것들을 국가가 얼마나 보장해 줄 수 있는지, 지켜봐야만 한다. 1년후에 이 글을 보면서 나는 과연 뭐라고 생각할까...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도서] 고도를 기다리며 (사무엘 뷔케트)

[원문보기]
이게 책으로 분류되기는 부적절한 것 같다. 희곡이자 연극이기 때문이다. 리뷰에서도 봤지만, 무작정 "고도"라는 사람을 기다리고 그 과정에서 인간의 무의미한 폭력과 대화가 오간다는 것. 고등학생 때 본 "서울, 1964 겨울"[김승옥]이 생각났다. 무의미한 대화와 행동들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모두 "고도"(기다림의 대상)을 기다린다. 뭔지 몰라도 좋은 쪽으로 쓰고 있기 때문이다. "고도"대신에 소년이 계속 오는데, 그 소년은 어제 왔었던 그 소년인지 모른다.(맞나?) 아무튼, 소년에게 계속 묻는다. 내일은 "고도"가 올 것인가에 대해. 아무런 줄거리도 없는데, 어떻게 유명해졌는지 모르겠다. 하긴, 뭐가 있어야 잘 되는 시대는 아닌지라, 누군가가 평론을 잘 썼나보다. 자야되는데, 자기 아깝다. 뭔가를 개발하고 싶은데 잘 되지 않는다. 좀 더 기다려야 하는 것 같다.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87다음
첨부 (1)
wait.jpg
7.3KB / Download 8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