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영식 홈페이지

[잡담] 내가 읽고 싶은 글을 읽고, 쓰고 싶은 글을 쓸 때

suritam92021.06.25 14:45조회 수 218댓글 0

    • 글자 크기

그동안 논문을 작성하느라 내가 읽고 싶은 글이나 쓰고 싶은 글을 쓰는데 제약이 있었다.

 

다른 사람의 지적에 따라 그 방향을 정해야 하고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그 형태를 따라야 했다.

 

이제 최종 인쇄물을 제출하고 내가 원하는대로 읽고, 원하는대로 쓸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오랜만에 도서관에서 가벼운 글들을 읽고 나니 글로벌(?)을 받았던 시간들이 너무 힘들었다고 다시 느끼게 되었다.

 

문체반정과 같이 나의 스타일의 글을 쓰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 저항하게 되면 끝에 도달할수 없다.

 

과거의 형식에 따라 내 것을 숨기고 남의 스타일에 순응해야 했다.

 

이제 내가 쓰고 싶은 대로 쓸 것이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쓰기] 그 어려운 걸 해 냅니다

[원문보기]

눈먼 집행부

 

마르지 않는 통장과 잔고 도둑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다는 아버지와

연봉 1억이어도 서울에 집 못 산다는 아들

 

월급 루팡과 세금 먹방

 

컵라면에 날계란

 

파묘든 적묘든 서만 잘 잘아라

 

행복한 사람은 단순하게 산다

자산가는 단순하게 살아도 시스템이 자산을 불려준다

서민은 단순하게 살면 평생 가난을 면치 못한다

 

일 보다는 계약이 어렵다

운동 보다는 가는게 어렵다

 

사지만 멀쩡하다

사지도 부실하다

 

돈이 없으면 털리지 않는다

 

몸이 안 좋을 땐 더 먹기

 

사당보다 먼 의정부보단 가까운

 

학생도 아닌데 돈이 없고 시간만 있다

 

시력이 약해지는 건 일을 하지 말라는 것

 

[쓰기] 배고파서 먹는 것인가, 먹으려고 배고픈 것인가

[원문보기]

가챠의 삶을 살고 있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팔 수 있으면 피라도 판다

 

댓글부대

개꿀부대

 

볼 수 없을 때 몰랐는데 보게되어 언감생심

 

예비군에게 반말 실수를 할 뻔한 시절

 

나를 부르는 이유는

내가 쓸모가 있다는 거겠지

 

월 1회는 상영관에서 영화를 본다

 

스마트 도서관은 언제나 열려있고

나에게 대출을 권한다

상환 후 대출

당분간 대출 연장은 없다

 

지하철 노선도에 GTX-A가 추가되었다

지하로 다니는 노선이니 여기에 추가되는게 맞겠지

 

[쓰기] 바른 말 하면 ㅈ 되는 사회

[원문보기]

신발이 밟힌다.

내가 느린가?

 

음성으로 지시하는 능력이 중요시될 사회

 

월급날을 기다리며

 

현대판 오전반 오후반

코로나 분반 수업

 

잔지바 전략

모든 접속 로그를 기록한다

 

가산과 가난

 

난 어떤 삶을 살고 있나

 

사이펀 효과와 삼투압 현상

 

저렴한 배달을 미루지 말라

 

타임캡슐 프로젝트

예적금으로 묻어둔 돈을 1년 뒤의 나에게 보낸다

 

[쓰기] 결국 책, 다시 책

[원문보기]

밤새 변동 없으셨습니까?

 

기동카 있어요?

 

보고서만 제출하는 사회

논문도 보고서다.

양식에 시덥지 않은 내용을 채울 수 밖에 없다

틀에 벗어나는 내용은 창의적인 것을 수용할 수 없는 그들의 평가를 받을 수 없다

 

안 될 것 같으면 하지마

 

재미없다는 것은 돈이 벌리지 않는다는 것

 

기후동행카드 쓰려고 갤럭시를 사겄다

 

외무지상주의가 다다

 

b급 강사

b정기 강사

 

이상적일 수 없으니 일상적으로

 

노숙자처럼 텐트 하나에 의지하는 삶

 

책과 교통비는 아끼지 않는다

 

과학생회장에서 포도를 무한 제공한 기억

 

본인 지갑 분실을 나에게 묻는 후배

 

1일 1책과 1000숏츠

숏츠를 1000개 보려면 책 한 권을 읽어라

 

[쓰기] 유치한 컨텐츠를 보는 이유

[원문보기]

어릴적 기억의 순수하고 신기했던 경험은 지금도 그 추억을 떠올리기 한다

방송이나 유튜브의 컨텐츠를 유치하고 수준 낮을 것을 보는 것은 그 이유이다

옛날 게임이나 복고풍 스타일을 추구하는 것도

퇴락해버린 탐욕스런 모습을 잠시 잊고 순수한 시절로 돌아가는 듯한 착각을 하기 위한 마약이다

순진한 아이의 모습은 사라지고 돈미새의 탐욕 가득한 돼지로 전락한 나는 갈 곳이 없다

 

배구가 농구보다 인기가 좋은 이유

외모, 비교적 접촉이 없고 땀도 덜나 화장도 할 수 있는 배구가 인가가 많을 수 밖에 없다

 

환율을 보면 국내의 처참한 상황을 알 수 있다

 

내가 없는 것은 출중한 외모가 아닐까

 

자본주의의 맛

휘낭시에

 

최저를 맞추지 못하는 구성원들과

그 최저를 너무 올려버른 사회

 

늙어서 전쟁할 사람도 없다

어른들은 힘들어서 싸움도 못 한다

 

어디든 갈 수 있는 스마트폰

 

초기화가 답이다

구글 네스트 미니 2

 

아무리 세상이 어려워도 막 사는 거 아니야

황야

 

 

[쓰기] 유(維) 세차(歲次) 시간의 순서와 차례에 대한 중요성

[원문보기]

책을 음악으로 변환

 

복권과 출산률은 floor(내림) 으로 진행된다. 유효 확률이 같다

 

릴레이게임에서 울분을 참지 못하고 감정조절을 하지 못한 사회 초년생

 

친구의 가방을 태운 말썽쟁이

 

변함이 없는게 좋은 건지 변하지 않아 좋은 건지

 

없어도 되는 게 90% 

그걸 파는게 상인

 

물리생성자-하층 컨텐츠생성자-하층 소비자-상층 지시자만 상층인 비정상적사회

 

자동생성영상이 자주 등장하는 건 수량이 많기 때문

 

생성자는 소비자와 다르다  결국 자동생성 컨텐츠의 소비자는 생성자가 아니다

 

잘 하는게 없다니 통탄할 일

 

수도꼭지 실습에서 패킹을 털어서 뺀 학생

 

안상우 하승재

[쓰기]

[원문보기]

마트 소주가 인하

식당은 인하하지 않아도 마트는 인하한다

 

종점에 내리는 인생

코트라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매일 매일 이자가 들어와요

매이들

 

허당인 사회

지원자가 없다

지원자가 몰리는 곳은 허당이 많다

 

바람쐬러 가기에 부담이 크다

 

오픈소스 먹방

 

기후동행, K패스, 경기패스, 아이패스, 나는 법인카드

 

예금 모으기

 

돈이 없구나

 

무엇이 정상일까

 

햄버거 빌런

 

택시는 양아치다

도움이 안된다

택시와 손잡으면 플랫폼도 같은 양아치가 될 수 밖에 없다

 

화장이 안 먹는 사람들

 

하고 싶은거 하고 살아

그래야 병 안 생겨

 

[쓰기] 안일하네

[원문보기]

돈이 다들 어디에 있어서 골프를 치러 다니는가

 

진상이기에 전회상담을 하며 ai로 안 되기에 전화로 한다

 

야옹캣 멍멍독 음메불 꼬꼬칵 구구돕 히힝폴 끼긱엪

 

여유가 있으니 야구 같는 놀이를 하지

 

바이러스가 퍼지는데 살충제를 뿌리고 있다

 

시력과 청력이 모두 약한 노인들은 얼마나 답답할까

 

수익원에 붙어 있기

 

게시물 같이 보기는 퍼다나르가 관음예능과 뭐가 다른가

 

권민우 최민준

 

돈을 벌기 위해 홈페이지를 운영하지는 않았다

 

유튜부는 돈벌이 수단이 아니다

 

더워서 그런지 라면도 안 끓인다

 

[쓰기]

[원문보기]
부정을 알고도 행하는 것은 부정이다
미친곳에서는 미쳐야 한다
노래방엔 선곡책이 없어졌을까?
친구의 별칭을 돌탱크라 했던 선배
항상 제자리 걸음
흰머리가 늘어가는 사회
종교 숏츠라니 ㄷㄷ
내일 뭐하니?
할 걸 다해서 찾아야 한다
부동산을 버티지 못하는 이유
대출 이자
숏츠는 양산형 때문에 오염됨
주식을 버티지 못하는 이유
목돈
여행 대리만족 여르노

[짧은 글] 지적 불안과 무지 불안, 교육과 학교

[원문보기]

내용은 알지만 다른 요구사항과 위험 요인이 발생할 걱정으로 느끼는 불안을 지적 불안, 내용을 모르기 때문에 파악해야하는 심리적 불안감을 무지 불안이라 표현하고 싶다.

 

개발의 영역은 무지 불안에 가깝고, 보안의 영역은 지적 불안에 가깝다.

 

지적 불안과 무지 불안 중 어떤 것이 더 심리적 영향이 큰지는 비교하기 어렵다.

 

다만 최근의 무지 불안들은 거의 사라지고, 지적 불안으로 전환되어 조금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무지 불안은 새롭게 나타나고, 지적 불안으로 전환된다.

 

지적 불안은 그 일이 끝나기 전까지는 사라지지 않고 누적된다.

 

그래도 지적 불안을 최소화 하려고 노력하는 환경이 조성되는 때라 안정적으로 진행 되기만을 바라고, 긍정적인 생각, 해탈의 마음을 견지하고 있다.

 

 

학교는 단순한 교육의 기능이 아닌 돌봄의 기능이 있었다. 시골의 아이들이 집에 안 가고 학교에서 늦게까지 노는 것은 옛날의 도시와 다르지 않다.

 

야간 자율학습으로 집보다 학교에서 보낸 시간이 더 많았던 학창 시절은 학교를 단순한 교육기관이 아닌 삶의 공간으로 각인시켰다.

 

이러한 환경에서 학교 생활을 한 사람들은 다시 학교로 돌아가는 것에 크게 이질감을 느끼지 않으며 학교를 두려움의 대상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지 않다.

 

나도 그런 학창 시절을 보내고, 대학원 학부, 석사과정도 많은 시간을 보냈기에 학교에서 무엇인가를 한다는 것에 걱정이 적다.

 

금년에 강의를 맡으면서 강의 자료를 준비하고, 여러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학교에 대한 사람들의 공감이 거의 100%에 달한다고 믿는다. 정말 극소수만이 학교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은 학교라는 기관과 환경에 대해서는 화제를 공유할 수 있다.

 

10년 정도의 공백 후에 지속적인 학교와의 연이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87다음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