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영식 홈페이지

[web2.0] 오픈아이디(OPENID)

[원문보기]
 여러 사이트 (특히 블로그 형)에 별도 가입 없이 사용자로 인증처리 하는 기술이다. 이를테면, 통합 id라고 볼 수 있다.

 국내 포탈에서는 DAUM이 최초로 도입 예정이라고 한다. 입력 필드에 이름, E-MAIL, 비밀번호 등을 쓰게 되있는데, OPENID를 사용하면, 그것들이 필요없다. 그리고 한번 등록된 사이트는 DB화 되기 때문에 나중에 별다른 인증없이 그 사이트에 그대로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음 일단 만들었으니 써본다."

[클래식] 비발디 사계 중 겨울

[원문보기]
Concerto op. 8-4 in F minor 'L'inverno 1. Allegro non molto 바이올린의 소리가 굉장히 열정적이다. 유진박이 생각난다. 아래 블로그에서 들어볼 수 있다. http://blog.naver.com/jjyi0301?Redirect=Log&logNo=90008369439 해설 : 얼어붙은 듯이 차가운 겨울, 산과 들은 눈으로 뒤덮히고 삭풍은 나무가지를 잡아 흔든다. 이빨이 딱딱 부딧칠 정도로 추위가 극심하다.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강연] 제5회 Lisp 세미나

[원문보기]

2016년 K-Lisper 에서 clojure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니 많은 참석 바랍니다.

 

- 김만명: 클로저 개발팀을 위한 지속적인 통합 설정http://clojure.or.kr/presentation/clojure_ci/#1

- 김은민: 클로저와 동시성 http://www.slideshare.net/eunminn/clojure-68804824

- 김영태: clojure.spec (Dynamic type/value Checking and Generative Testing Libarry) http://philoskim.github.io/docs/spec/


 

- 김선호: 클로저, 웹 개발이 다가 아니에요http://www.slideshare.net/SeonhoKim/corelogic-clojure

- 박상규: re-frame (Functional Reactive UI Programming Library)http://www.slideshare.net/SangKyuPark1/re-frame-68818376

- 양승헌: Graphics Programming in Clojure

- 이민선 : Clojure Bridge!http://www.slideshare.net/dalzony/2016-68870999



[도서] 아내가 결혼했다(박현욱)

[원문보기]
네이버에서 책 검색이 안 된다. 뭐지? 아무튼 오랜만에 여기에 쓸 기회가 생겼다. 이 소설은 터무니 없는 3류소설이다. 안타깝다. 성관계와 축구 이야기로 얼룩져서 과연 '폴리xxx'를 논하는 것은 삽입구조를 보이는 것 같다. 뭔소리냐고? 별로 맘에 안든다는 소리다. 난 축구경기 시청을 즐기지 않으므로 그것에서 빗나갔고, 자유분방한 성관계를 개방적으로 생각하는 '아내'에 대해 상당한 불만이 많다. 남편을 둘씩이나 갖다니 어처구니가 없다. 화자는 정말 '병신'인 것이다. 후부(후처와 대응적인 나중 남편)와 술이나 마시며, 애가 아프다고 같이 병원가서 담배피고, 개념이 없는 놈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세상에 이런 거지같은 이야기에 문학상을 주다니 어처구니가 없다. 지금 다른 일 때문에 화가 나서 이 서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어쩔 수 없다. 서머셋 몸의 소설 '과자와 맥주'에 나오는 자유분방한 여성상을 닮은 그녀는 뇌의 어딘가에 이상이 있어서 남편을 둘씩이나 두고 살수 있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하긴 여성 프로그래머에다가 축구까지 좋아하니 보기드문 상(image)인 것은 사실이다. 난 축구를 좋아하고 프로그래머인 여자를 절대로 만나지 않을 것이다!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봉사] 청소년 경제증권 교실

[원문보기]
 일단 시작했다.

 다음주에는 내가 운을 띄워야 하는데,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냥 대충 대충 해 버릴까? 사실 그다지 부담되는 부분은 없지만, 뭔가 잘 해봐야 겠다는 생각 때문에 그게 발목을 잡는 것이다. 아.. 이것 참... 사실 세상에 쉬운 일이 어디에 있겠는가!"

[만화] 전제훈, 사랑 in"

[원문보기]
정말로 감동적인 내용들이 많다. 서민생활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이해하기 힘든 내용이 있을지도 모른다. 이 만화를 보면서 눈물이 나지 않으면 편하게 산 놈이다. 그래 편히 살아라!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서평] 나는 항상 새로운 것에 도전한다-리차드 브랜슨

[원문보기]
 왜 이 책은 절판되었는가!

 리차드 브랜슨. 대단한 사업가이다. 기질이 있다. 운도 따르고 위기 대처 능력도 뛰어나다. 약간의 사기와 불법적인 일들로 수익을 올리거나 경영하기도 하였지만, 현재까지도 계속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고 도전하는 모습은 존경스럽다. 기구를 타고 태평양을 건너거나 무모한 사업추진은 실로 범인이 아닌 도전정신을 보여준다.
 책 내부에 불륜과 복잡한 여자관계를 보여주긴 한다. 굳이 이 부분을 넣었어야 하는가에 대한 것도 있지만, 사업과 관련하여 이유가 있었기에 관련구절상 넣은 것 같다. 그런데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에 조금 그의 이미지를 좋지 않게 했는지도 모른다.
 스티브잡스와 비슷하게 그도 많은 여러 위기를 겪었다. 그러나 순간의 선택과 운이 잘 따라줘서 그는 회생할 수 있었다. 스티브 잡스의 맥북, 아이폰 정말 잘 팔린다. 버진그룹의 항공사, 줄줄이 나오는 여러 사업 아이템들도 나쁘지는 않은 것 같다.
 항상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CEO 리차드 브랜슨! 저서 Losing My Virginity. 잘 읽히는 편은 아니나, 읽어볼만 하다. 괴짜. 운 좋은 CEO 이야기..."

[도서] 시인들이 쓴 1원의 경제학

[원문보기]
이 도서의 시대적 배경은 1997년 즉, IMF 체제에 들어섰을 때이다. 벌써 10년이 다 되간다. 지금의 경제 상황은,.. 아니 서민 경제는.. 훨씬 더 어렵다고들 말한다. 왜. 전 보다 훨씬 편리해 진 것은 사실이지만, 업무량에 있어서는 전혀 줄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왜 일까. 일부에서는 기업들의 과도한 경쟁으로 업무 시간을 줄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하는데...(외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사실일까? 유지보수비가 많이 들어가는 것일까.. 앞으로 10년후, 아니 곧 부양해야 할 인구가 2배로 뛸 것이다. 그러면 노동계층에서는 2배로 더 일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 물론 실버산업의 주체들이 일을 해서 자족하긴 하겠지만, 그것은 이상적인 경우다. 예측으로서는 부양해야할 노인들이 지하철의 노약자석이 일반석과 바뀐 것 만큼이나 늘어날 것이다. 악몽이다.!! 1원의 경제학 에서는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기에 그것을 일궈온 지식인(시인)들이 쓴 과거사(가난했던 시절의 절약)와 현재(절약하는 그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힘든 시절을 겪었는데, IMF 경제 체제는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고 말하기도 하고, 그 당시의 과소비와 거품경제를 비판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것을 지금에 어떻게 적용해 볼 수 있을까. 무조건 허리띠를 졸라 메는 것이 능사인가? 지금은 노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이들을 위해 정규직(지속가능한)을 마련하고, 돈을 쥐고 있는 부유층에서는 시장에 돈을 투자해야 한다. 그래야 돈이 돈다. 무조건 돈을 축적하려고 파이낸셜 기관에 부동산에 외국으로 빠져나가게 한다면, 그것은 대한민국이 망하는 지름길이다. 현재 한국은 위기에 빠지고 있다. 경제 공황으로 치닫고 있다. 교육, 과학기술 뭐, 내세울 것이 없다. 운운하고 있는 최첨단 기술도 팔지 못 하면 그만이다. 이공계 기피 등으로 연구 인력도 곧 부족하게 될 것이다. 교육은 말 그대로 입시 위주의 멍든 체제로, 바꿔야 된다는 말하면서 외국계를 좇기만 하고 있다. 과연 잘 될까. 출산율이 낮아, 이젠 사범대도 인근 국립대로 통폐합 시키려 하고 있다. 이것이 말이 되는가.. 1원의 경제학에선 절약을 잘 보여준다. 우린 지금 외화는 절약하고, 집안(국내)에서는 활발한 경제를 위해 돈을 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거리에 노숙자는 더 증가하고, 20대의 백수들은 줄지 않을 것이며, 나아가 배고픈 날들을 보내야 할 것이다.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취미] 4회 하이서울마라톤대회(10km)

[원문보기]
완주를 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들었다.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여러가지로 피로가 누적된 터라 굉장한 걱정이 되었다. 음... 그러나, 7km의 물수건 까지 도착하여 9.5km의 가슴 답답함과, 종료지점 100m전에서는 라스트 스퍼트까지를 수행했다. 기록은 1시간 이내로 예상하는데, 1시간이 넘는다면, 주최측에게 탓을 돌려야지 뭐... 사람이 많은데, 도로폭이 좁은 곳을 선택한 것과 음료의 냉장 실패, 예산을 줄이기 위한 음료를 종이컵에 따라 준 것은 정말로 대 실망이다. 간식은 협찬으로 때웠겠지... 서울시장을 본 것으로 만족해야 겠다. 어줍잖은 메달은 그다지 보관하고 싶지 않다.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전시] 부산 IT EXPO

[원문보기]
왜 부산까지 가게 되었는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처음 결정하게 된 것은 내가 여유가 있었던 한 달 전이어서, 계획상 가게되었다. 상당한 교통비를 지불하고, 간 터라 서울 캐릭터 페어 만큼 볼 것이 있는지를 걱정해야만 했다. 다행히 입구쪽에 사람들이 꽤나 있었고, 안에는 둘러볼 것 들이 있었다. 하지만 역시 가장 재미있었던 것은 E-SPORTS. 피파 온라인 이었다. 승부차기 까지 가는 접전끝에 어떤 팀이 승리했다. 소니와 마소(마이크로 소프트)가 좋은 자리를 위치하고, 윈도우 비스타까지 설명하면서 조기에 손님들에게 선전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그리고 소니사의 무료 사진 인화는 돈 많은 기업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소니사에서느 별도로 차량이 있어서 그 안에서 최신제품이라며 소개를 했는데, 그냥 일반 가전으로 밖에는 생각이 안 되었다. 나머지 기업들도 그러했다. 사실 볼게 없었던 것이다. 예전에 생각했던 기술이 나와 있을 뿐이었다. 그 중에서 그나마 실용적 이었던 것이, 명함 스캔 기기 였는데, 명함을 스캔하면, 주소록 프로그램에 자동 입력되고, 편집이 가능한 상태로 되면, 주소를 클릭하며 지도까지 보여주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였다. 그런 실용적인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나의 목표인데, 그다지 영감이 떠오르지 않아, 뭐를 할 지 모르겠다. 부산 BEXCO까지 갔는데, 이득이 적어서 아쉬웠다.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87다음
첨부 (2)
P9160023.JPG
185.3KB / Download 72
P9160017.JPG
197.1KB / Download 6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