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영식 홈페이지

[부산] 서면, 광안리, 연산동

[원문보기]

서면은 너무도 자주온다. 이번엔 초량에 숙소가 있는게 아니라 그쪽은 둘러보지 않았군.


초읍과 서면은 매일 지나다니는 루트이고, 안평과 광안리는 어쩌다 보니 들리게 되었다.


내일은 다대포나 송정 쪽으로 가볼까 하는데, 어디로 갈지 모르겠다.


사직은 글쎄다...


연산동엔 친구가 있어 이번에 또 들리게 되었다. ㅎㅎ

[ibook] 최종 등록

[원문보기]

표지가 제대로 등록되지 않은 것과 제목이 입력되지 않은 문제로 Reject 되어, 한 달간 시도한 끝에 이용 가능하다는 메일을 받았다. 아직 아이패드에서 확인해 보지는 못 했지만,  별 문제 없이 짤리지 않고 콘텐츠가 유지되리라 생각된다. 삽질의 흔적이 남아있긴 하지만, 등록에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한번에 잘 되기는 힘드니까, 이 정도로 만족한다.


[마라톤] 서초마라톤

[원문보기]
내일 모레 하남시 미사리 조정 경기장에서 마라톤 대회에 참가한다.
12월엔 올림픽 경기장.
달리면 좀 더 정신이 맑아지기 마련이다.

[투표] 오늘은 선거일 이었다.

[원문보기]
사람들이 sns를 이용해 너도 나도 인증 샷을 올렸다.

투표했다는 것보다 그들의 얼굴을 볼 수 있어서 너무도 반가웠다.

늙어가는 가 보다. 사람들이 그리워진다.

나는 평소에 사진을 올리니, 오늘은 확인 증만 올렸다.

이런 일이 아니더라도 그들이 셀카를 찍어 올리면 반가울 것이다.

[기사] 독서후기클럽 1주년 기념 저자낭독회 및 공연안내

[원문보기]

 오는 11월 4일 화요일에 숭실대학교 한경직기념관 김덕윤예배실에서 '저자 낭독회 및 북밴드 공연'이 있을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숭실대학교 '독서후기클럽'이 1주년을 맞아 개최한 것으로 의미있는 행사이다. `독서후기클럽`은 책 뉴스 사이트 `북데일리`의 후원을 받고 있으며, 독서토론모임인 '수다'로 이어져 매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이는 교보문고에서 발행하는 <사람과 책>에도 소개된바 있으며, 2주에 한번씩 화요일에 모임을 갖고 있다.

 낭독회의 저자 김경욱 씨는 <누가 커트 코베인을 죽였는가>, <장국영이 죽었다고?>, <모리슨 호텔>의 저자로 2004년 제37회 한국일보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북밴은 문학작품을 노래로 만들어 부르는 문학밴드로 작사·작곡가 겸 보컬 제갈인철, 기타리스트 김대욱, 또 다른 보컬 이수진 등 3명이 멤버다.

일시 : 2008.11. 4(화) 18:30~20:00
장소 : 한경직기념관 김덕윤 예배실
내용 : 소설가 김경욱의 <위험한 독서> 낭독
          북밴 공연(제갈인철, 김대욱, 이수진)

"

창덕궁 거기(去記)

[원문보기]
음... 작일에 창덕궁에 가기로 마음먹고,  오전일정에 넣었는데, 9시에 일어나고 말았다. 되길... 9시에는 출발해야 오전에 관람을 마칠 수 있는데, 실패했다고나 할까... 암튼, 용산부터 가기로 했다. 내 PDA의 꿈을 확인해 보기위해서 였다. 그러나 핀잔만 듣고, '문외한'이라고 보였을 만큼 쪽팔림을 당하고 나온 것 같다. 쉐발.... 게세리... 간판에 PDA전문점이라고만 안 씌여져 있어도 안 들어 갔다. 뭐냐.... 기분 더럽게.. PDA는 아예 없더만, PDA폰만 있으면서, 잘난척 하기는.!!! 아무튼, 사직공원을 둘러보고, 종로도서관에서 중식을 해결한 후, 창덕궁으로 향했다. 음.. 일본인관광객 차량이 들어서고 있어서 사람이 매우 많아 보였다. 그 시간은 골든타임 때였다. 오전에 갔어야 한산할텐데, 아무튼 사람이 많은 것도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다. ㅎㅎㅎ.. 나처럼 나홀로 관람객도 있었다는 것에 마음의 위안이 되었다. 건축물을 보러갔다기 보다는 아무생각없는 관람이었기에 주위깊게 듣진 않았다. 다만 가이드의 넘치는 친절함과 끊임없는 웃음과 재담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집중시키기에 적당했다. 하루에 3TIME 한다는데, 목 관리만 잘 하면, 그리 어려운 직업은 아닌 것 같다. 다만, 짜증나는 손님들과 극성 맞은 어린이들의 공격을 피할 수 없기에 약간의 노하우가 필요할 것 같다.  암튼, 비원까지 관람을 끝내고, 여러 생각에 빠졌다. 다음에는 누구랑 같이 가야할 텐데, 같이 좀 갈 사람 없나.. 서울구경은 혼자서 하기엔 너무 아까운 것 같다. 음. TIP을 주자면 2시 30이 일본어 설명이고, 3시가 중국어 설명이기 때문에, 2시45분에 설명을 들으면, 일본인과 중국인을 볼수 있다는 것이다. 그시간이 골든타임이라 사람이 꽤나 많다는 것. 다른 시간은 비온 다음날 아침, 되도록 맑은 날에 찾아가면 좋고, 덥지않은 때에 가는 것이 나무가 많은 창덕궁 뒤뜰의 언덕을 오를 때 좋은 조건으로 작용한다. 가이드의 열정적인 설명과 친절한 안내로 사람들은 모두 즐거워 보였다. 1시간 20분이란 긴 시간이 금방 갔던 것 같다. 나는 사람들을 잘 안 내할 수 있을까??? 내가 군생활에서 "안내"하는 역할도 맡았던 것 같은데, 별로 였던 것 같다. 친절한 안내자가 많아졌으면.. 좋겠군..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리뷰 실적] 인터파크 리뷰 200건

[원문보기]
weceo를 통해 책을 받으면서 알라딘, 인터파크, 교보문고에 서평을 올리고 있다. 혜택이 없는 것 보다는 있는게 걍 용인할만 하다. 파워북피니언으로 서평 쓰기 이벤트를 했는데, 실적을 제대로 충족했는지 모르겠다. 일단 개수는 채웠으니.....
상품권이 언제 발급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왔으니 써야겠다. 포인트를 환전해서 책을 사거나 영화를 봐야겠다.

[잡설] 난 가진게 없다

[원문보기]
이 글을 쓴 것 같기도 한데 목록에 없다. 다시 써 보자. 지인이 '차가 있냐고 물었다.' 그 때 나는 '저는 가진게 아무것도 없습니다.'라고 대답했다. 거의 강매하듯이 산 '세탁기'와 한 번 읽고 쌓아둔 받은 책들이 무게 나가는 것들이다. 나 밖에 못 입는 낡은 옷 들이 널부러져 있고, 집에서 가져온 극세사 이불이 추운 산동네에서 나를 버틸 수 있게 한다. 최근 산 만 원도 안되는 구두를 신고 다니는데, 투박하지만, 신다보니 적응이 된다. 나이대가 40대로 올라간 듯 하지만 상관없다. 지인에게 맞지 않는 양복을 인수하게 될 것 같아. 새 것을 사지 못하는 설움을 안고 살아야 할 듯 하다.
 그래서 맥북 air 풀 옵션을 반드시 사야할 것 같다. 가진게 없고, 있어도 있다고 할 수 없는 흉물 중에 하나라도 제대로 된 것이 있어야하지 않겠는가? 나는 신용카드도 없다. 구질구질하게, 체크카드 혜택으로 영화나 보고 다닌다. 오케이캐시백 포인트를 모아 도토리를 사고, 헌혈을 통해 화장품 등을 수급한다. 그래서 맥북 air 풀 옵션을 꼭 사야겠다. 지금 학교 연구실에서 빌린 노트북과 지인이 준 노트북으로 연명하는 거지 같은 짓을 하고 있다. 이번 주 토요일에 집에 가서, 부모님 카드를 이용해 6개월 할부로 노트북을 살 것이다.
지금 쓰는 노트북은 이제 enter 키가 죽어가고 있다. 이 놈을 통해 엄청난 글들을 포스팅했는데, 정말 고맙다. 이윤기님의 수필이 항상 떠오른다. 소설 작업을 하던 오래된 타자기와 노트북에서 정을 느꼈던 그.
허걱.. enter key... 나는 이제 가진게 있다. 물론 새거는 별로 없다. 이제 새거로 채워지길 바란다. 노트북을 사면,,,,, 다음달에도 궁핍한 생활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그래도 맥북 유저가 되는게 낫다. 어차피 가진게 없으니까.

[WCAG20] contents의 정의

[원문보기]
content (Web content)     information and sensory experience to be communicated to the user by means of a user agent, including code or markup that defines the content's structure, presentation, and interactions 콘텐츠의 구조(structure), 표현(presentation),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마크업이나 코드를 포함하여, 표시장치(user agent)의 기능에 의해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감각적인 느낌과 정보 위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오.. 컨텐츠란 단순 텍스트와 영상을 시각적으로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 촉각도 포함하는 것임을 명시하는 것에서 매우 훌륭하다고 할 수 있다."

[수필] 꿈을 이뤄주는 방송

[원문보기]
슈퍼스타K 이후로 오디션 프로그램이 편성되지 않은 방송사가 없다. 각종 오디션 장에는 사람들이 장사진을 이룬다.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를 부르던 어린시절. 그런 소망이 나이를 불문하고 유효한 영역으로 남는가 보다. 물론 허황된 유혹으로 꿈을 오도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적어도 예선에만 참여하더라도 TV에 나오기 때문에 자신이 생각한 길이 맞는지 아닌지 재고할 수 있게 한다. 심사위원들은 누가 나오더라도 합불여부가 크게 바뀌지 않는다. 어차피 합불은 청중의 분위기만 봐도 알 수 있다. '이건 아닌 것 같다'가 20~30%만 있어도 누구라도 그들을 본선에 진출시킬지 아닐지를 안다.
업무에서의 전문가는 직장이나 실무에서 증명된다. 잠재된 예능을 가진 사람도 주변의 인정을 통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 그럼에도 조금 더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주려는 욕망은 예능이 높은 듯 하다. 전문직들이 방송을 통해 보여주려고 하는 것은 수익 외에는 큰 의미를 갖지 않는 듯 하다. 인기를 얻는다면 모르겠지만, 그런게 아니라면 방송을 통해 유명해 지기 보다는 연봉 등에 집중하게 될 것이다. 물론 방송을 통해 마케팅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런점에서 정치인들은 예능인에 가깝다. 전문가라고 보기엔 부족하고, 방송에서 인기를 얻어 사람들에게 잘 못 찍을(?) 확률을 높이는데 주력한다.
결론적으로 사람들이 방송에 출연하고 싶은 욕구들을 충족시켜주는 방송사들에게 심심한 감사를 표한다. 꼭 공중파나 케이블을 통해 나오지 않더라도, 인터넷 방송을 통해 개인 방송을 하고 있으니, 이 세상에 방송을 타지 않는 사람들은 없다고 할 수 있다. TV를 보기 싫으면 안 보면 된다. 내가 나오는 방송만 보거나, 내가 좋아하는 이들이 나오는 방송을 보면 된다. TV에 나가기 위해 노력하는 게, 범죄나 되지도 않는 공부에 열정을 빼앗기는 것 보다 낫다.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8다음
첨부 (1)
wb.jpg
104.9KB / Download 14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