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영식 홈페이지

[가사] 립스틱 짙게 바르고

suritam92021.07.22 11:17조회 수 54댓글 0

    • 글자 크기

립스틱 짙게 바르고는 1987년 임주리 가수에 의해 발표된 노래인데, 1993년 드라마 삽입곡으로 나오면서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당시에는 '역주행'이란 말이 없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지금 표현의 역주행인 것이다.

 

2008년 다비치에 의해 동일한 이름의 곡이 나왔으며, '립스틱을 바르는 행위의 의미'는 유사하다.

 

[다비치 노래의 가사]

"사랑같은거 하지 않을래 다시는 바보같은짓 절대 안할꺼야 립스틱을 짙게 바르고 긴머리를 자르고 네가 준 상처를 지우고"

 

[임주리] 이별을 당한 여자가 고독을 씹고 있는게 아니라 이별을 남자가 준 마지막 선물로 여기고 립스틱을 짙게 바르고서 다른 사랑을 찾아나서는게 요즘 세태와 맞아떨어진 것 같다

 

[의견] 립스틱을 바르고 헤어스타일을 바꾸는 의미는 기존 기억을 지우고 새로 시작하겠다는 의지이다. 삭발을 하고 의지를 다지는 듯한 행위이다.

 

그러나 립스틱은 버리기 보다는 덧칠하는, 덮어버리는 행위라 숨길 수 없는 무언가가 남아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1987년에서 2008년으로 넘어오면서 20년 후에는 버리는 것이 많이 가사에 들어갔다.

 

긴머리 자르기, 상처 지우기 그리고

 

"널 다 버리고 널 다 지우고 너 없이도 행복할거야"

 

해당 부분을 잘 못 들으면, 놀다 버리고, 놀다 지우고로 들린다.

 

패륜적인 가사로 들을 수 있는데, null 이었다니.

 

역시 null 은 버리고 지워야 하는 것이다.

    • 글자 크기
[잡담] 차량 운행기 (by suritam9) [우수] 2019년 2020년을 잘 마무리하여 과정 수료 (by suritam9)

댓글 달기

[잡담] 차량 운행기

[원문보기]

자동차를 구매해 운영한지 약 6개월이 지났다.

 

요즘 지방 출장을 다니면서 매일 30분 이상의 운전을 하고, 업무 장소에 가려면 4시간 정도를 운행해야 한다.

 

어제도 집으로 돌아오면서 과민 운전이나 운전 미숙으로 사고 직전까지 가는 상황에 이르렀다.

 

운전이 안되는 날은 계속 문제가 생기고, 예민해 지며 사고 유발 운전 차량을 많이 목격하게 된다.

 

이제 왕복 1회가 남아있다.

 

무사히 다녀와야할 텐데 역시 운전은 항상 무섭다.

 

[잡담] 차량 운행기

[원문보기]

자동차를 구매해 운영한지 약 6개월이 지났다.

 

요즘 지방 출장을 다니면서 매일 30분 이상의 운전을 하고, 업무 장소에 가려면 4시간 정도를 운행해야 한다.

 

어제도 집으로 돌아오면서 과민 운전이나 운전 미숙으로 사고 직전까지 가는 상황에 이르렀다.

 

운전이 안되는 날은 계속 문제가 생기고, 예민해 지며 사고 유발 운전 차량을 많이 목격하게 된다.

 

이제 왕복 1회가 남아있다.

 

무사히 다녀와야할 텐데 역시 운전은 항상 무섭다.

 

[우수] 2019년 2020년을 잘 마무리하여 과정 수료

[원문보기]

2020년으로 가면서 공동저자가 들어가게 되었다.

 

jpeg.jpg

 

r

[쓰기]

[원문보기]

쓰지 못 하는 돈 만이 존재하는 현실

 

대기업과 복지 격차 30만원?

 

비전에 있어야 입사 제안을 하지

 

흉물스러운 타워크레인과 멈춰버린 공사에 망해버린 사람들

 

도시락 두 개

반찬은 하나

 

바닥 닦이용 왁스를 거의 안 쓰고 버렸겠구나

 

이기적인 주인공과 조력하는 조연들의 진부한 클리세

 

지출만 쌓이네

 

통화소리가 시끄러운 노인들

 

좋은 소리도 못 듣고 다니고 택배 배송 주소나 잘 못 쓰고

 

태어나 보니 반지하

 

김밥을 던지는 놈

삶은 계란을 던지는 놈

지금은 택배나 던지고 있겠지

 

불러 들이는 것을 선호하는 담당자

 

열차 플랫폼에서 소변 보게 하는 어른 to bottle

 

하차문 앞 좌석에서 요지부동

하차객 불편 호소로 일어나기는 하네

 

왜 배고프지?

 

욕을 먹는 건 부러움의 대상이라는 것

 

 

[잡설] 스탠딩 코메디의 러닝타임

[원문보기]

스탠딩 코메디는 코미디 빅리그나, 웃찾사, 개그콘서트 같은 프로를 말한다.

 

과거에는 코미디 프로나 녹화된 예능이 20~30분 아예, 40분을 채워서 하는 것도 있었다.

 

광고나 중간 진행, 채널 사수를 위해 점점 길이가 짧아져서 5~10분 정도로 컨텐츠가 조정되고, 메인 프로만 15~20분 연장하기도 했던 것 같다.

 

이 러닝 타임은 지금의 유투브 컨텐츠 평균 길이와 유사하며, 짧은 시간동안 시청자를 잡아 둘 수 있는 전략적인 시간이다.

 

이젠 그것도 짧아져서 1분, 1분 미만의 컨텐츠가 빈번히 제작되고 있다.

 

신속한 문화의 한국 사회가 이에 걸맞는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

 

정보량이 굉장히 짧은 시간에 압축되어 순식간에 시각과 청각으로 전달되고 있어 점점 볼거리가 줄어 든다는 기분에 휩싸인다.

 

[도서] 싫다면서 하고 있어 하하하

[원문보기]

최현정 작가의 책이 세번째 인가.

 

그동안 재미있게 보았기 때문에 최근 나온 책을 구매했다.

 

그동안은 공감을 느낄 수 있는 직장인의 이야기들을 재미있게 썼다면 이번에는 너무 자학적이고 비관적으로 썼다.

 

자학 수준이 과한 것 같으며, 작가 자신을 너무 자학하여 책을 읽으면서 독자가 덩달아 기분이 저하되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다시 한번 읽으면서 글을 다듬었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블로그의 수준으로는 상관없지만, 출판되는 도서는 수위를 지켜야한다는 지론이다.

 

뭐, 기분탓으로 이번 도서가 상당히 낮은 수준의 자존감을 보여준 것에 대해 실망했는지도 모른다.

 

삽화는 100% 만족 / 문장은 50% ?? 

[독서] 다시 책으로

[원문보기]

김민영님을 접하게 된 것은 10여년 전 리뷰 기자 활동을 할 때 였을 것이다.

 

책모임을 같이 한 적이 있는지는 기억에 없으나 책 모임 전문(?) 활동가라는 것은 도서를 읽으며 알게되었다.

 

"나는 오늘도 책 모임에 간다" 는 올해 나온 최신간이다.

 

사지 않을 수 없다.

 

모르는 사람도 아니고, 근간이 궁금할 만한 인물(?)의 저자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결혼도 하고 블로그에 글도 잘 올리고 있으시고, 책도 내고 하시니 반가울 따름이다.

 

책의 유일한 단점에 대해 "너무 많다"라고 했다. 오랜만에 책에서 어록으로 챙길만한 짤고 강력한 문장을 찾았다.

 

 

요즘 이상하게 어머니와 닮은 사람을 보고, 마트에서 동명의 직원을 발견하게 되었다.

 

 

헌혈의 집에서는 나의 식사 여부를 챙겨준다. 따뜻한 헌혈의 집

[리뷰] 기생충

[원문보기]

소규모 마트에서 40대 전후로 보이는 아이의 아버지가 알뜰코너 상품에 대해 아이에게 말한다.


부 : "그건 상한거야 조금 더 가서 사야해"

자 : "이건 상한거라고?"

부 : "상한 거라도 싸게 사갈래 라고 하는 거야"

 

3초 이상 생각하지 않았다면, 상한 것이 아니라 신선도가 떨어진 상품이라고 정정하도록 요구할 목적이었다.

 

나 자신을 비롯한 매장 점주를 범죄자로 만드는 발언이기 때문이다.

상한 상품을 파는 점주와 이른 묵인하는 방조자. 살인 방조죄.
 

영화 기생충에서는 반지하의 칙칙함과 침수, 그들의 삶을 답답하게 표현한다.

 

반지하나 고시원에서 맡을 수 있는, 그런 생활 공간에서 사는 사람들의 옷에 배어있는 냄새가 난다.

 

반지하와 연결되어 있는 나의 삶은 빛으로 나가기 어렵다.

 

채광이 잘 드는 곳에서 블라인드로 어둠속에 숨어있다.

 

영화를 보고나서 바로 환기와 채광 후 청소를 했다.

 

아직도 나에게서는 고시원과 지하실의 냄새가 난다.

 

박사장이 지하철에서나 나는 애매한 냄새라고 표현한 그 냄새.

[독서] 시티픽션

[원문보기]

지인이 M사에서 면접을 보고 받아온 책을 주었다.

 

오랜만에 유투브가 아닌 책을 읽게 되어 반가웠다.

 

"우리가 보는 것이 같은 빨간색일까 묻는 사람들은 있어도 우리가 느끼는 1초가 같은 1초일까 묻는 이들은 없다.

똑딱, 초침이 넘어갈 때 방 안의 사람들은 같은 1초를 공유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모두 다른내적 시계로 셈을 하고 있다.

 

시간에는 측정할 수 있는 물리적 실체가 없다. 다세포 생물들은 감각의 초인지적 통합을 거쳐 시간을 지각한다.

보이는 것, 들리는 것, 진동하고 울리는 감각들에 대한 뇌의 총체적 해석과 편집이 바로 시간에 대한 감각이다.

인간은 하루, 한 시간, 1분, 1초, 한 달과 1년을 구분할 수 있지만, 각각의 뇌 속에서 흘러가는 시간은 다르게 지각된다."

 

이것을 생체시계라 한다. 과거에 지인이 소리의 절대적 단위를 주장했던 적이 있다.

모든 기기는 이상하게 dB라는 단위가 있지만 이 단위로 음량을 표현하지 않는다.

좀 더 알아볼 예정이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처럼 생체시계에 의해 인지되는 시간과 공간은 청각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작가는 화학을 전공했는데, 물리학적인 시공간 해석에 대한 글을 썼다.

 

시간은 사람들에게 동일하게 주워지는데, 생산하는 것은 제각각인 것으로 보면 사람들은 동형암호를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시간에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없지만 사람들은 삶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 낸다.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77다음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