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 Self-organiz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wireless multi-hop networks)이란 주제로 오스트리아 Klagenfurt 대학의 Prof. Bettstetter 교수가 발표를 하였다. 학교에서 하는 거라 기꺼이 참석하려고 갔는데, 일정에 korean time이 적용되어 30분간 기다렸다. 게다가 강의실 빌리는 것도 사전에 얘기가 안 되었는지, 아줌씨가 계속 시끄럽게 하였다. 정말로 짜증나는 부분이었다. 아무튼 ad-hoc network는 '훤히보이는 wibro'란 책에 2007~2009년에 상용화 내지 개발목표가 뚜렷히 잡히는 기술로 적요되어 있었다.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Mobile Host)로만 이루어져 통신되는 망'이라고 되어있는데, 무선인터넷(핫스팟)과 HSDPA정도가 그나마 알려져 있어서 이것은 잘 모르는 것이었다. 착안은 반디불에서 동기화(SINC)하는 것을 원리로 각 노드(Mobile Node)들과 AR(Access Router)하는 것으로 설명했었다. 음, HandOver라는 개념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내의 커넥션 교환에 관련되는 용어인데 아직은 잘 모르겠다. 이 handover에 관해 설명했었는데 원리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이 책은 그 이전에 관한 얘기이므로 2006년 7월 이후에 서비스되는 무선광대역인터넷에 대한 사업자이야기와 적용단말기 등에 관한 것을 다루고 있다. 꽤나 흥미로운 자료가 많다. 현재 서비스 가격은 가입 3만원에 월 29500이다. 나에겐 부담스런 가격대이다. 넷스팟을 쓸 예정인데 이것은 '핫스팟'개념의 무선인터넷 서비스이다. wibro보다는 먼저나온 ap개념의 무선인터넷이다. ad-hoc이던, 뭐든 국내에서 채택된다면 얼마나 수요를 갖을지가 의문이 되는 시대가 되었다. 그만큼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더 이상의 수요가 안 생기는 것이다. 금년이나 내년부터 공동연구가 된다고 하니, 2009년이 되어서나 사용서비스가 가능한 분야라 생각된다.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