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영식 홈페이지

[도서] 과자와 맥주(서머셋 몸, 대호출판사, 1978)"

박영식2006.12.04 10:03조회 수 686댓글 0

  • 1
    • 글자 크기
5장 후반부--------- 소설에서 보면 아름다운 여자가 몸을 망치면 반드시 어린 애가 생긴다. 왜 생기는지 그 점만은 도대체가 애매하게 적혀 있으며 때로는 방점을 무척이나 많이 붙이고는 그것을 암시하고 있거니와 생긴다는 것은 정해 놓은 이치였다. "운이 좋았겠죠. 준비를 잘 했다고 하기보다는"하고 메어리 앤은 말했다. 그러나 곧 정신이 든 듯 열심히 접시 닦던 손을 멈추고 "아무래도 도련님은 쓸데없는 일들을 어지간히 아시는 것 같군요" 했다. "물론이지"하고 나는 뽐내듯이 말했다. "그 따위 정도로 몰라, 난 인제 어른이야, 안그래?" "내가 알고 있는 것은"하고 메어리 앤이 말했다. "리브스의 아주머니한테서 좆겨났을 때 로드 조오지가 하바샴의 프린스 오브 웨일즈 훼더스에 취직을 시켜 주고 여전히 찾아 다녔다는 것 뿐입니다. 맥주라면 여기나 거기나 다를 것이 없는데 말이죠." "그럼 왜 테드 드리필드가 그 여자와 결혼했어?"하고 나는 물었다. "그건 다를 사람에게 물어 보시죠"하고 메어리 앤이 말했다. "그 훼더스에게 만났는데요. 달리 아무데도 시집갈만한 곳이 없었기 대문이었겠죠. 좋은 집안의 색시라면 그런 사람한테 아무도 시집가지 않을 것이니까요." "그래 그 사람은 알고 있었나, 지금 애기한 일들을?" "그 사람하네 물어보면 되겠죠" 나는 입을 다물었다. 모든 것이 까닭을 알 수 없었다. "요즘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었나요. 그 여자?" 하고 메어리가 물었다. "결혼하고 나서는 한 번도 만나지 못했는데. 레일웨이 암즈에서의 여러가지 얘기들을 듣고 나서 부터는 나도 상대해 주지 않았어요." "별로 이렇다할 건 없어"하고 나는 말했다. "한 번 물어보세요, 나를 기억하고 있느냐고. 어떤 표정을 할까. --------------------------------------------- 서머셋 몸의 소설의 제목은 내용과 추상적 관계에 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인간의 굴레', '달과 6펜스'는 내용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그와 마찬가지로 '과자와 맥주'도 내용과 직접적인 매치가 되는 것이 없다. 위의 발췌내용은 그냥 '맥주'라는 단어가 나와서 옮겼을 뿐이다. 박완서님의 소설에서는 제목과 내용이 상당부분 관련이 있다. '엄마의 말뚝', '우리들의 부자' 등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과자와 맥주는 서머셋몸이 가장 아끼는 소설이라고 정평이 나 있는데, 번역본은 최근 것이 없다. 왜지? 그래서 도서관 보존실에 있는 책을 읽을 수 밖에 없었다. 장왕록 교수님이 언급한 부분은 아직 찾지 못했다. 음. 아무일도 안 하고 소일하기(시간 보내기). 잠으로는 18시간까지 가능한데, 그 이후로는 힘들다. 숨만쉬면서 시간을 보내는 것은 군대에서 근무서는 것 만큼이나 힘들 것이다. 과자와 맥주는 '테스'를 쓴 '토마스 하디'의 삶을 풍자했다고 하는데, 작가들의 문란한 삶을 지적하는 내용이 그다지 달갑지는 않다. 인간은 타락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인간이다. 서머셋 몸이 언급하는 자유로운 여자는 지금도 존재할 것이다. 겉으로는 깨끗해 보이는 타락녀. 줄거리는 외국 사이트를 참고해서 정리해 보겠다.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박영식 (비회원)
  • 1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visio] 순서도-dijstra 알고리즘

[원문보기]
변수 초기화 과정은 없다.

- visio는 순서도 및 여러 프로젝트 설계에 관한 일정, 조직도 등을 쉽게 표현할 수 있는 툴이다."

[언어] MS Sliver Light

[원문보기]
XAML(eXtensible Application Markup Language)과 자바스크립트로 되어 있는 플래시에 버금가는 그래픽 환경을 갖는 표현 방식이다. 언어로 분류하기엔 좀 부족한 면이 없지 않아 있다. 기사에서는 툴로 부르는 데, 툴이라고 하기에도 적절치 않아 보인다. SilverLight 카페에서도 이것을 편집기로 XAML파일 수정을 통해 표현하고 있는데, 다른 툴이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일단 시작은 했다.
"

[프로그램] svn - 버전관리 프로그램

[원문보기]

버전 관리 시스템의 용어들

저장소 : 리포지토리(Repository)라고도 하며 모든 프로젝트의 프로그램 소스들은 이 저장소 안에 저장이 됩니다. 그리고 소스뿐만이 아니라 소스의 변경 사항도 모두 저장됩니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여러 사람이 접근 할 수 있습니다. 버전 관리 시스템 마다 각각 다른 파일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Subversion은 Berkeley DB를 사용합니다. 한 프로젝트 마다 하나의 저장소가 필요합니다.

체크아웃 : 저장소에서 소스를 받아오는 것입니다. 체크아웃을 한 소스를 보면 프로그램 소스가 아닌 다른 디렉토리와 파일들이 섞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디렉토리와 파일들은 버전 관리를 위한 파일들입니다. 임의로 지우거나 변경하면 저장소와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체크아웃에도 권한을 줄 수 있습니다. 오픈 소스 프로젝트들에서는 대부분 익명 체크아웃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커밋(Commit) : 체크아웃 한 소스를 수정, 파일 추가, 삭제 등을 한 뒤 저장소에 저장하여 갱신 하는 것입니다. 커밋을 하면 CVS의 경우 수정한 파일의 리비전이 증가하고 Subversion의 경우 전체 리비전이 1 증가하게 됩니다.

업데이트(Update) : 체크아웃을 해서 소스를 가져 왔더라도 다른 사람이 커밋을 하여 소스가 달라졌을 것입니다. 이럴 경우 업데이트를 하여 저장소에 있는 최신 버전의 소스를 가져옵니다. 물론 바뀐 부분만 가져옵니다.

리비전(Revision) : 소스 파일등을 수정하여 커밋하게 되면 일정한 규칙에 의해 숫자가 증가 합니다. 저장소에 저장된 각각의 파일 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Subversion의 경우 파일별로 리비전이 매겨지지 않고 한번 커밋 한 것으로 전체 리비전이 매겨 집니다. 리비전을 보고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임포트(Import) :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은 저장소에 맨 처음 소스를 넣는 작업입니다.

익스포트(Export) : 체크아웃과는 달리 버전 관리 파일들을 뺀 순수한 소스 파일을 받아올 수 있습니다. 소스를 압축하여 릴리즈 할 때 사용합니다.
"

[선정] IBM DW 모니터 2기

[원문보기]
아! 대학원 선배가 선정되었음에도 대학생인 나에게 기회가 왔다. 기쁘다!

[운영체제] MS Windows Vista

[원문보기]
현재 사양을 평가했다.

[정치] 육영수 여사 추도식 때의 박근혜 전 대표

[원문보기]
국립 현충원에 다녀왔다. 8월 15일은 여러 의미가 담겨져 있다.

[PC] VMware 설치 및 이용

[원문보기]
vmware의 모습과 fedora core 7을 실행모습

HWP2005의 CD IMG를 띄우는 것도 전혀 문제가 없다.

[선정] 북데일리 시민기자

[원문보기]
 서평활동을 좀 더 폭넓게 하면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한다. 블로그에 리뷰만 올리기 보다는 훨씬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리뷰어 활동이라고 생각된다.

http://www.bookdaily.co.kr/"

[MS] Project Hoshimi

[원문보기]

두번째 Discovery Mode의 두번째 Lesson이다.

Objectives:

Objectif 0 (1000 points)
A nanobot must go to the following points:
{X=15,Y=193}  after turn 0 and before turn 1500
{X=24,Y=148}  after turn 0 and before turn 1500
{X=51,Y=137}  after turn 0 and before turn 1500
{X=64,Y=122}  after turn 0 and before turn 1500


Objectif 1 (500 points)
A nanobot must go to the following points:
{X=34,Y=188}  after turn 0 and before turn 1500
{X=72,Y=189}  after turn 0 and before turn 1500
{X=88,Y=180}  after turn 0 and before turn 1500
{X=79,Y=147}  after turn 0 and before turn 1500


Objectif 2 (200 points)
A nanobot must go to the following points:
{X=140,Y=180}  after turn 0 and before turn 1500
{X=160,Y=153}  after turn 0 and before turn 1500
{X=122,Y=125}  after turn 0 and before turn 1500

"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78다음
첨부 (2)
sm.jpg
10.6KB / Download 5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