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영식 홈페이지

[도서] 돈키호테(시공사, 박철 옮김)"

박영식2006.08.07 19:56조회 수 1524댓글 0

  • 2
    • 글자 크기
돈키호테를 번역한 출판사는 많다. 그러나 스페인어를 직접 번역한 책은 별로 없다고 한다. 박철 교수는 돈키호테 출간 400주년을 맞은 2005년에 대비하여, 세르반테스..... 연구회를 만들어 학생들과 번역을 했다고 한다. 돈키호테가 2편까지 되어 있는데, 이것은 1편밖에 번역이 안 되어 있다. 2편을 번역할 생각이 없어 보인다. 2편은 다른 출판사 것을 봐야할 것 같다. 돈키호테는 동화에서나 보고, 그 뒤로 소설로 본 사람이 그리 많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상주의자화 현실주의자의 갈등속에 현실주의자도 결국 이상을 좇는 내용을 그리고 있다.(이것은 순전히 평론가들의 말이다.) 뭐, 간단히 말하면, 미친사람을 따라다니던 정상인이 미쳐가는 내용이다. 나는 지금 어떤 목표를 향해 모험을 떠나고 있다. 4개의 성을 거쳐야(승리해야만..) 도전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미치지 않고서는 견디기 힘든 것이다. 사실, 아무것도 가진 것 없이, 도전하려고 하니, 돈키호테 처럼, 집으로 만신창이가 되어 돌아올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종자(하인)를 데리고 다시 도전하게 되겠지... 음, 나의 "둘네시아 델 토보소"는 어디에 있는 것이고, 그녀를 위해 뭐를 할 수 있는 것일까. 2편을 읽고서, 3번째로 나간 돈키호테 데 라만차와 임종 직전에 정신이 돌아오는 내용을 읽어야 겠다. 요즘에 집에만 있으면, 공상으로 잠을 이루지 못 한다. 밖에 나가서 피로를 좀 쌓아 줘야 빨리 잠에 들수가 있는 것이다. 돈키호테처럼 무모하게 도전하지는 않겠다. 치밀한 계산을 하여 돈페르난도처럼 일을 수행할 것이다. 물론 마지막에는 원하는대로 얻지 못할지라도.... * 박영식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09 01:29)"

박영식 (비회원)
  • 2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프로그램] svn - 버전관리 프로그램

[원문보기]

버전 관리 시스템의 용어들

저장소 : 리포지토리(Repository)라고도 하며 모든 프로젝트의 프로그램 소스들은 이 저장소 안에 저장이 됩니다. 그리고 소스뿐만이 아니라 소스의 변경 사항도 모두 저장됩니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여러 사람이 접근 할 수 있습니다. 버전 관리 시스템 마다 각각 다른 파일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Subversion은 Berkeley DB를 사용합니다. 한 프로젝트 마다 하나의 저장소가 필요합니다.

체크아웃 : 저장소에서 소스를 받아오는 것입니다. 체크아웃을 한 소스를 보면 프로그램 소스가 아닌 다른 디렉토리와 파일들이 섞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디렉토리와 파일들은 버전 관리를 위한 파일들입니다. 임의로 지우거나 변경하면 저장소와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체크아웃에도 권한을 줄 수 있습니다. 오픈 소스 프로젝트들에서는 대부분 익명 체크아웃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커밋(Commit) : 체크아웃 한 소스를 수정, 파일 추가, 삭제 등을 한 뒤 저장소에 저장하여 갱신 하는 것입니다. 커밋을 하면 CVS의 경우 수정한 파일의 리비전이 증가하고 Subversion의 경우 전체 리비전이 1 증가하게 됩니다.

업데이트(Update) : 체크아웃을 해서 소스를 가져 왔더라도 다른 사람이 커밋을 하여 소스가 달라졌을 것입니다. 이럴 경우 업데이트를 하여 저장소에 있는 최신 버전의 소스를 가져옵니다. 물론 바뀐 부분만 가져옵니다.

리비전(Revision) : 소스 파일등을 수정하여 커밋하게 되면 일정한 규칙에 의해 숫자가 증가 합니다. 저장소에 저장된 각각의 파일 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Subversion의 경우 파일별로 리비전이 매겨지지 않고 한번 커밋 한 것으로 전체 리비전이 매겨 집니다. 리비전을 보고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임포트(Import) :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은 저장소에 맨 처음 소스를 넣는 작업입니다.

익스포트(Export) : 체크아웃과는 달리 버전 관리 파일들을 뺀 순수한 소스 파일을 받아올 수 있습니다. 소스를 압축하여 릴리즈 할 때 사용합니다.
"

[언어] MS Sliver Light

[원문보기]
XAML(eXtensible Application Markup Language)과 자바스크립트로 되어 있는 플래시에 버금가는 그래픽 환경을 갖는 표현 방식이다. 언어로 분류하기엔 좀 부족한 면이 없지 않아 있다. 기사에서는 툴로 부르는 데, 툴이라고 하기에도 적절치 않아 보인다. SilverLight 카페에서도 이것을 편집기로 XAML파일 수정을 통해 표현하고 있는데, 다른 툴이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일단 시작은 했다.
"

[visio] 순서도-dijstra 알고리즘

[원문보기]
변수 초기화 과정은 없다.

- visio는 순서도 및 여러 프로젝트 설계에 관한 일정, 조직도 등을 쉽게 표현할 수 있는 툴이다."

[봉사] 청소년 경제증권 교실

[원문보기]
 일단 시작했다.

 다음주에는 내가 운을 띄워야 하는데,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냥 대충 대충 해 버릴까? 사실 그다지 부담되는 부분은 없지만, 뭔가 잘 해봐야 겠다는 생각 때문에 그게 발목을 잡는 것이다. 아.. 이것 참... 사실 세상에 쉬운 일이 어디에 있겠는가!"

[영화] Tomorrow

[원문보기]
 아주 감동적인 영화였다.

 과학적으로 가능성이 있어보이지 않다는 평이 있으나, 실제로 발생한다면, 정말 대책없다. 중간중간의 전개는 지루함이 없다. 그래서 갑작스럽게 등장하는 늑대가 좀 당황스럽긴 하다.

 진짜 끝나기 10분 전까지는 개연성과 흥미. 내게는 만족을 주었다. 마지막 10분은 대통령을 없애고, 부통령이 사과 좀 하고, 사람들이 고층빌딩 옥상에서 무지 많이 나타난다. 뭐야....

 음. 진실을 숨기기위한 행동과 말. 그리고 "너 때문이야" 한마디에 넘어간 여성... 내가 응급처치를 배웠을 때, 알몸으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고는 있었는데, 과학적인 설명은 아직 잘 모른다. 거기에 대해서만 좀 더 알아보면, 오늘 하루는 그런데로 보낼 수 있을 것 같다.

 요즘에는 생각하는 것과 코딩하는 것이 동시에 안 된다. 옛날엔 됬던 것 같은데.. 그래서 누워서 생각 좀 하고, 그것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하고 있다. 생각하다보면, 머리가 빠게지는 것 같다. 이 영화의 특수효과.. 순식간에 얼어 붙는 것을 구현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개발] flash menu creater, flv player (using flv encoder)"

[원문보기]
menu creater

link : http://www.dreamingsoft.com/
down : http://suritam9.woweb.net/www/temp/fmsetup.exe
demo : http://suritam9.woweb.net/interior/menu.htm


Used flv player in Flash8.

and used encorder
link : http://www.rivavx.com/
down : http://suritam9.woweb.net/www/temp/RivaEncoderSetup.exe
demo : http://robotics.ssu.ac.kr/members/flvplayer/robot.html"

[개발] Visual Studio 2005 - C#

[원문보기]
역시 시작은 hello world 로...

using System;
namespace Zimzion 
{
    class Hello 
    {
        public void MyPrint()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
}

class My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Zimzion.Hello myHello = new Zimzion.Hello();
        myHello.MyPrint();
    }
}
"

[수료] 응급처치법, 심폐소생술 일반과정"

[원문보기]
 대한적십자사 인천광역시지사에서 상설강습인 '응급처치법, 심폐소생술 일반과정을 23일과 24일 양일간 이상없이 수료하였다. 그런데 왜이리 찝찝하지? 그건 직접 받아본 사람만이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아무튼 좀더 전문적인 응급처치가 가능할만큼의 자격요건은 된다. 물론 실제로 해 본적이 없기 때문에 상황이 닥치면 전혀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하기 힘들다. 사실 이 과정은 수료증의 의미가 크지 습득의 의미는 약하다. 강사과정은 추후에 고려해 보겠다.

 그럼 관심있는 사람은 대한적십자사 홈페이지 배움터를 참고하길 바란다."

[web2.0] 오픈아이디(OPENID)

[원문보기]
 여러 사이트 (특히 블로그 형)에 별도 가입 없이 사용자로 인증처리 하는 기술이다. 이를테면, 통합 id라고 볼 수 있다.

 국내 포탈에서는 DAUM이 최초로 도입 예정이라고 한다. 입력 필드에 이름, E-MAIL, 비밀번호 등을 쓰게 되있는데, OPENID를 사용하면, 그것들이 필요없다. 그리고 한번 등록된 사이트는 DB화 되기 때문에 나중에 별다른 인증없이 그 사이트에 그대로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음 일단 만들었으니 써본다."

[안내] 세계 헌혈자의 날 기념 감사 이벤트 안내

[원문보기]
http://www.bloodinfo.net에서 확인하시길

아래는 잡담

 IT와 헌혈의 홍보대사로 이런 가수들이 된 것에 대해 그다지 달갑지 않게 생각한다. 그러나 뭐, 열심히 해 준다면 막을 이유는 없을 것이다.

말이돼?
 <동방신기는 세계 최고, IT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와 팀명의 뜻이 비슷하기 때문에 이번 홍보대사에 위촉이 되었는데요.>

수퍼주니어만 해도 11명인데 헌혈 당연히 고등학교 때 경험상 한 사람 있겠지....
<이갑노 혈액관리본부장은 “슈퍼주니어와 천상지희 멤버들은 대부분 헌혈경험이 있고 평소 사회봉사에 열성적으로 참여해 왔다”고 밝히고 “또한 두 그룹 모두 젊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헌혈경험이 없는 사람들에게 헌혈의 건강한 이미지를 심을 수 있을 것 같다 ”며 위촉배경을 설명했다.>
"
이전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8다음
첨부 (1)
donq.jpg
8.3KB / Download 159
windmill.jpg
71.8KB / Download 792
위로